목록 web (31)
KEEP GOING

CSS는 HTML을 꾸며주는 스타일시트라고 하였으나 정확히 말하자면 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Cascading Stylesheet)이다. 캐스케이딩은 CSS 약자의 맨 앞글자를 뜻하는데 스타일시트에서 위에서 아래로 우선순위가 존재한다는 의미 이다. 그래서 CSS에서는 특정 요소에서 스타일이 중복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 우선 순위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 스타일 우선순위 : 스타일 규칙의 중요도와 적용 범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그 우선순위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스타일을 적용한다. 스타일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 important : 가장 우선 적용되는 스타일이다. 인라인 스타일 : 해당 태그만 스타일을 적용한다 id 스타일 : 한 문서에서 한 번만 적용할 수 있다. (선..

기존에 있던 html 파일에 스타일시트인 css를 적용해보았다. css를 적용하면 색상, 글꼴, 글짜 크기 등 디자인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실습 코드 현장실습 나는 6월 22일부터 에스에스엔씨에서 현장실습을 진행중이다. 지금은 html을 배우고 있으며 css와 자바스크립트를 배울 예정이다. MVC Spring framework를 이해하고자 간단한 프론트 엔드 스킬을 연마중이다. 8월 플랜 인턴 공고 확인하기 ncs 준비하기 오픽따기 9월 플랜 학점 관리 인턴 공고 확인 준비중... 관심사 은행, 증권, 보험 금융 it it 신기술 해당 코드에서의 이 부분은 현재 html 파일이 저장된 위치에 존재하는 css 파일을 참조한 것이다. 다시 말해, 외부 파일을 참조한 방식이다. . . . . . 실행 결과

실습으로 감자빵 주문 사이트를 만들어 보았다. 실습에 진행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감자빵 주문 사이트 상품 선택 MENU 원조 감자빵 치즈 감자빵 고구마 감자빵 주문할 상품을 선택하세요 원조 감자빵 치즈 감자빵 고구마 감자빵 포장 여부 포장 포장 안함 비회원 주문 연락처 배송 정보 주소 : 경기도 수원시 배송 기간 : 최대 7일 소요 아이디 비밀번호 . . . 출력한 결과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 실습을 진행하던 와중에 프론트엔드 지식이 부족하여 실습을 진행하였다. html을 편집할 텍스트 에디터로는 아톰을 사용하였다. https://atom.io/ A hackable text editor for the 21st Century At GitHub, we’re building the text editor we’ve always wanted: hackable to the core, but approachable on the first day without ever touching a config file. We can’t wait to see what you build with it. atom.io ! 현장실습 나는 6월 22일부터 에스에스엔씨에서 현장실습을 진..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해 STS(Spring Tool Suite)를 설치해야 한다. STS는 웹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툴이다. 프레임워크를 설치하였으면 웹서버를 연동시켜 준다. 아파치 톰캣 서버를 설치하고 프레임워크 위에 올리면 된다. 해당 방법은 아래에서 참고하길 바란다. https://all-record.tistory.com/154 스프링 개발을 위한 STS 다운로드 및 설치 스프링 개발을 위해 STS(Spring Tool Suite)를 설치해보자. ※ STS : 스프링 개발을 편하게 하기 위한 개발 툴, 전체적인 모습은 이클립스와 동일하다. STS 다운로드 및 설치 ■ 사이트 : https://spring.io/too. all-record.tistory.com 이제 웹..

1. MVC 패턴 MVC 패턴이란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주로 쓰이는 개념이다. 디자인 패턴이란 SW를 개발하던 사람들이 이전에 직면했던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말한다. 쉽게 말해 SW를 개발하고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해 미리 정해놓은 약속이라고 생각하자. ( 개발자 면접에서도 스프링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하면 반드시 물어보는 질문 중 하나로 중요한 개념이라고 한다. ) 모델(MODEL), 뷰(VIEW), 컨트롤러(CONTROLLER)로 구성되어 있다. VIEW :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이다.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을 수 있고 동시에 출력을 제공한다.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모델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정보처리기사에서 배웠듯이 체크박스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VIEW라고 할 수 있다..

spring framework JAVA로 개발된 플랫폼을 제작하기 위해 무료로 제공되는 오픈소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 여기서 프레임워크란 sw를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있어 재사용을 쉽게 하고자 협업화해 둔 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엔터프라이즈급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경량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여기서 엔터프라이즈급이란 대량의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대규모의 기업용 개발을 의미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에서는 자바 객체의 소멸 및 생성 등 LIFE CYCLE을 관리한다. IoC 기반의 프레임워크라고도 불리는데, IoC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은 객체가 생성되면 이를 필요로하는 메소드 안에서 호출되어 사용된다. 즉, 사용자가 제어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IoC는 이러한 구조의 흐름을 바꾼다. ..